Python

[파이썬 Python] 문자열 처리 함수

microsaurs 2022. 12. 5. 00:49

파이썬에는 다양한 문자열 처리 함수가 존재합니다.

 

- lower() : 문자를 전부 소문자로 바꿔주는 함수

- upper() : 문자를 전부 대문자로 바꿔주는 함수

- 변수명[n].isupper() : 문자열의 n번째 문자가 대문자인지 확인해주는 함수 (boolean형)

- len() : 문자열의 길이를 알려주는 함수

- 변수명.replace("xxx", "yyy")) : 문자열에서 앞의 문자를 뒤의 문자로 변경해주는 함수

python = "Python is Amazing"

print(python.lower()) # python is amazing
print(python.upper()) # PYTHON IS AMAZING
print(python[0].isupper()) #True
print(len(python)) # 17
print(python.replace("Python","Java")) # Java is Amazing

 

 

index() 함수는 변수에서 문자를 찾아 몇 번째에 위치하고 있는지 알려주는 함수입니다.

index = python.index("n")
print(index) # 5

index = python.index("n", index + 1)
print(index) # 15
print(python.index("Java")) # 오류 발생

첫 번째로 인덱스 함수를 통해 n의 위치를 찾아내고 두 번째 n의 위치를 찾고 싶을 때는 + 1을 해줍니다.

index 함수에서는 변수에 없는 문자를 찾으려고 하면 오류가 발생합니다.

 

 

find() 함수는 index() 함수와 비슷한 함수로 변수 내에서 문자를 찾아줍니다.

print(python.find("n")) # 5
print(python.find("Java")) # -1 원하는 값이 없는 경우 -1을 출력

index() 함수와 find() 함수의 차이점은 원하는 값이 없는 경우 find() 함수는 -1을 출력한다는 것입니다.

 

 

 

count() 함수는 변수에서 문자가 몇 번 등장했는지 세주는 함수입니다.

print(python.count("n")) # 2